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조의 탕평 정치와 개혁

history

by powerup125 2020. 10. 7. 19:10

본문

반응형

정조의 탕평정치와 개혁 정책

 

탕평책 (준론탕평)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 탕평책 추진

영조 때에 세력을 키워 온 척신과 환관 제거, 권력에서 배제되었던 소론과 남론인 계열도 중용

 

규장각 설치(1766)

창덕궁 후원에 설치 강력한 정치 기구로 육성 (홍국영을 규장각 직제학으로 임명)

기능

- 역대 왕의 글과 책을 수집 보관하기 위한 왕실 도서관

- 비서실의 기능과 문한 기능을 통합적 부여

- 과거 시험 주관과 문신 교육 임무까지 부여

서얼 출신을 규장각 검서관에 등용 : 4검서(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서이수)

강화도에 외규장각 건설 프랑스가 병인양요(1866) 때 외규장각 도서 약탈 2011년 대여 형식으로 반환

 

 

초계문신제(1781)

스스로 초월적 군주로 군림(만천명우러주인옹 자처) 스승의 입장에서 신하 재교육

37세 이하의 당하관 중 젊고 재능 있는 문신드을 의정부에서 초선하여 규장각에서 위탁 교육 40세가 되면 졸업

 

 

장용영 설치(1788)

국왕의 친위 부대, 병권 장악 및 왕권을 뒷받침하는 군사적 기반

내영(도성 중심) / 외영(수원 화성 중심)으로 편성

 

수원도시 건설

수원 화산으로 사도(장헌) 세자 묘 이전

화성 축조

- 주도 : 정약용(설계), 채제공(공사 책임자)

- 기능 : 정치적 + 군사적 + 상업적 목적 (상공인 유치) 정조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는 상징적 도시로 육성

- 특징

1) 방어와 공격을 겸한 성곽 시설, 종합적 도시 계획, 장용영 외영 설치, 행궁 건설 행차 시 상언 격쟁 기회

2) 대유둔전 설치(국영 농장, 화성 경비 충당)

3) 정약용의 거중기 사용 (공사 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

4) 수원 행차를 위한 정약용의 배다리 설계

5) <화성성역의궤>

   - 의의 :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등재

만석거축만제만년제 축조 등 수리 시설 개선, 수원 유수부 설치

 

제언절목(1778)

비변사에서 제정한 제언에 관한 규정 (제언의 신축과 수리 확대, 수리 시설의 개인 독점 금지)

 

신해통공(1791)

채제공 건의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 폐지

 

수령 권한 강화

수령이 군현 단위 향약 직접 주관 지방 사람의 영향력 약화, 수량권 강화

 

편찬 사업

대전통편(법전), 동문휘고(외교 문서 정리), 추관지(형조 업무), 탁지지(호조 업무), 내각일력(정조~고종까지의 규장각 일기)

무예도보통지(병법서), 홍재전서(정조의 시문집), 증보동국문헌비고(동국문헌비고 증보), 규장전운(이덕무, 어학책), 일성록(국정 기록 일기)

춘관통고(의례서), 홍문관지(홍문관 역사), 규장각지(규장각 직제), 태학지(성균관 역사), 병학통(병법서), 오륜행실도

 

 

기타

중국의 <고금도서집성>수입 (저술X), 공장안(장인등록제) 폐지

이조 전랑의 후임자 천거권 완전 폐지, 노비에 대한 차별 완화

문체반정

- 당시 노론계를 중심으로 유행한 중국의 패관소품체를 정통 고문으로 바로 잡으려는 정책

- 노론 벽파의 반발 무마 및 노론 견제와 시파 보호 목적

신해박해(1791)

전라도 진산의 윤지충과 권상연이 윤지충의 모친상 때 신주 소각 천주교식으로 장례 윤지충권상연 처형

정유절목(1777)

서얼 차별 완호, 허통의 범위 확대 (규장각 검서관에 서얼 중용)

 


 

일성록(국왕의 동정과 국정을 기록한 일기)

정조가 세손 때부터 쓴 <존현각의 일기>에서 유래

1783년부터 국왕의 개인 일기에서 규장각 관원들이 시정에 관한 내용을 작성한 후에 왕의 재가를 받은 공식적 국정 일기로 전환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등재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