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갑신정변(1894)과 14개조 개혁 정강

history

by powerup125 2020. 10. 23. 11:35

본문

반응형

갑신정변(1884)

 

(1) 배경

 

• 국내 :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 심화, 민씨 정권의 개화당 탄압

김옥균의 일본 차관 도입 실패 (급진 개화파 입지 위축)

 

• 국외 : 청프 전쟁(1884)을 위해 조선 주둔 청국군 일부 철수

일본 공사의 재정과 군가 지원 약속

 

 

(2) 전개

 

우정총국 낙성식 축하연을 이용해 급진 개화파가 정변을 일으킴 → 반대파 제거 → 개화당 정부 수립 → 혁신정강 공포

 

(3) 결과

 

• 청군의 창덕궁 공격 → 급진 개화파의 군대 및 일본군 패퇴 (정변이 3일 천하로 끝남)

• 개화당 일파가 정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고 일본으로 망명하자 흥분한 민중들이 일본 공사관 파괴

• 한성조약 체결 (조-일, 1884) : 일본 공사관 신축비와 배상금 지불, 사죄 및 배상금 등

• 텐진조약 체결 (청-일, 1885) : 청 • 일 양군 철수, 조선에 군대 파견 시 상대국에게 미리 통보

 

 

(4) 의의

 

• 근대 국민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최초의 정치 개혁 운동

• 청과의 사대 관계를 끊고 국가의 자주권 확립 시도

• 봉건적 신분 제도 타파 시도, 내각 중심의 입헌 군주제 도입 시도

 

 

(5) 한계

 

• 위로부터 전개된 근대화 운동의 선구 (민중지지 결여), 토지 개혁 X

• 일본에 의존, 급진 개화파의 정치적•군사적 기반 미약

 

 

 

 

 

 

갑신정변 이후의 국내외 정세

 

1. 조선을 둘러싼 청과 일본의 대립 격화

 

2. 조•러 비밀 협약 추진 → 청의 간서으로 실패

 

3. 거문도 사건(1885~1887) : 조•러 밀약설 →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한다는 구실로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 → 청의 중재로 철수

 

4. 한반도 중립화론 대두

- 배경 : 갑신정변 이후 조선을 둘러싼 청과 일본의 대립 격화, 영국의 거문도 불법 점령으로 한반도 긴장감 고조

- 중립화론 : 조선 주재 독일 부영사 부들러와 유길준이 주장 → 받아들여지지 않음

 

5. 조•러 육로 통상 조약(1888) : 경흥 개방

 

6. 방곡령 사건(1889) : 함경도(관찰사 조병식). 황해도(관찰사 조병철)

 

 

 

 

 

갑신정변 14개조 개학 정강

 

1. 청에 잡혀간 흥선 대원군 귀국 및 청에 대한 조공 허례 폐지

2. 문벌 폐지, 인민 평등,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3. 지조법 (조세 제도)개혁 (토지 개혁X)

4. 내시부 폐지 → 국왕의 권력 제한

5. 탐관오리 처벌 → 국가 기강 확립, 민생 안정

6. 각 도의 환상미(환곡미) 폐지 → 환곡 제도 개선

7. 규장각 폐지 → 국왕의 권력 제한

8. 순사를 두어 도둑 방지 (근대적 경찰 제도 확립)

9. 혜상공국 혁파 (보부상의 특권 폐지 → 자유 상업 발전)

10. 귀양살이 및 옥에 갇혀 있는 자를 정상을 참작해 감형

11. 4영을 1영으로 축소, 근위대 설치 → 군제 개혁 (군의 통솔권 확립)

12. 모든 재정은 호조에서 일원화

13. 대신과 참찬은 의정부에 모여 정령을 의결하고 반포 (입헌군주제)

14. 의정부와 6조 외에 불필요한 기관 폐지

 

 

 

 

홍영식

 

- 1881년 조사 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 시찰

- 1883년 보빙사로 파견되어 미국 방문

- 1884년 우정국(우정총국) 총판에 임명됨

- 1884년 갑신정변 때 청군에게 피살

 

 

김옥균

 

- 1882년 3차 수신사 박영효와 고문으로 일본 파견

- 1883년 차관 교섭을 위해 일본 방문

- 1884년 갑신정변 실패 후 일본 망명

- 1894년 상하이에서 홍종우에게 피살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